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오라클7

7. 오라클 - 그룹함수(SUM, AVG, MAX, MIN, COUNT) 그룹함수 SUM함수 ==> 그룹의 누적 합계를 반홚나다. SELECT SUM(SAL) FROM EMP; AVG ==> 그룹의 평균을 반환한다. SELECT AVG(SAL) FROM EMP; MAX ==>그룹의 최대값을 반환한다. SELECT MAX(SAL) FROM EMP; MIN ==> 그룹의 최소값을 반환한다. SELECT MIN(SAL) FROM EMP; SELECT ENAME,MIN(SAL) FROM EMP; ※위 와같은 문장은 에러가 난다. ENAME은 그룹함수가 아니기 때문에 각각 산출되는 값의 갯수가 달라서 매치 시킬수 없기 때문이다. 즉, 800이라는 결과값을 SMITH에도 붙일 수도 없고 ALLEAN에 붙일 수도 없기 때문이다. COUNT ==> 그룹의 총 개수를 반환한다. 테이블에서 조.. 2009. 7. 24.
6. 오라클 - 단일행함수들 3)변환 함수(TO_CHAR, NVL) (1) TO_CHAR 함수 TO_CHAR(datetime, 'format') >> 데이터 관련 데이터 타입을 VARCHAR2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. SQL> SELECT TO_CHAR(SYSDATE, 'YYYY-MM-DD') FROM dual; TO_CHAR(number, 'format') >> NUMBER 데이터 타입을 VARCHAR2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. SQL> SELECT TO_CHAR(20000, '$999,999') FROM dual; >> 두 예제는 각각의 SYSDATE를 'YYYY-MM-DD' 형식의 VARCHAR2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과 NUMBER데이터 타입인 20000을 '$999,999'형식의 VARCHAR2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해서 출력해준다. (2) NVL 함수 NVL(ex1, .. 2009. 7. 16.
5. 오라클 - 단일행함수들 3)날짜함수(SYSDATE, ADD_MONTHS, LAST_DAY, MONTHS_BETWEEN) 날짜 함수 사용법 (1)SYSDATE 함수 SYSDATE >> 시스템의 설정된 날짜 값을 반환. SQL> SELECT SYSDATE FROM dual; (2) ADD_MONTHS 함수 ADD_MONTH(date,integer) >> 지정한 날짜에서 해당 월에 정수를 더한 값을 반환. SQL> SELECT TO_CHAR(ADD_MONTHS(SYSDATE, 30),'YYYY-MM-DD') FROM dual; >> 첫번째 인자인 SYSDATE로 현재의 날짜인 시스템 날짜 값을 받고, 두번재 인자로 그 해당월에 30개월 뒤의 날짜를 반환한다. 반환할때는 'YYYY-MM-DD' 형식으로 출력한다. (3) LAST_DAY 함수 LAST_DAY(date) >>해당월의 남은 일수를 반환. SQL> SELECT LAST.. 2009. 7. 16.
4. 오라클 - 단일행함수들 2)문자함수(LOWER, SUBSTR) SQL 명령어중 단일행함수중 문자함수 사용법 2)문자함수 (1) LOWER 함수 LOWER(char) >> 입력된 문자 값을 소문자로 변환한다. SQL> SELECT LOWER('KOrea') "Lower" FROM dual; >>문자값 중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한다. ※ 오라클은 테이블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에 대해서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. 예를들어 'King'이라는 사원의 이름이 있다면, WHERE절로 질의문을 써서 조건을 줄때 'king'로 했다면, 검색이 안된다. EX) WHERE last_name = 'seo' 결과 : no roew selected라고 검색된 레코드가 없다고 메세지를 준다. (2) SUBSTR 함수 SUBSTR(문자열, 시작 문자 위치, 반환할 문자 갯수) >>입력된 문자열을 시.. 2009. 7. 16.
반응형